마케팅 전략/2026년트렌드
2026년 Z세대 트렌드 흐름 지도(캐릿)
Marketcast
2025. 11. 7. 17:50
2026년의 트렌드는 더 이상 단일한 ‘유행’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1020세대’, 즉 Z세대와 알파세대 초입이 중심이 된 트렌드 생태계는 다층적이고, 그 흐름은 플랫폼별로 뚜렷하게 갈라지고 있다. 캐릿(Careet)이 공개한 「트렌드 흐름 지도(Trend Flow Map) 2026」은 이 변화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흥미로운 자료다.
이 지도는 ‘트렌드의 최상류에서 하류까지’ 트렌드가 어떻게 생성되고 소비되는지를 플랫폼 단위로 정리하고 있다. 엑스(X),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블로그, 커뮤니티 등은 각기 다른 역할을 맡는다.
2020년대 초까지만 해도 유행의 중심이던 인스타그램과 유튜브가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을 유지하는 반면, 엑스(X)와 틱톡은 ‘트렌드의 발원지’로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공간으로 부상했다. 이제 트렌드는 ‘누가 먼저 유행을 발견했는가’보다 ‘어떤 플랫폼에서 어떻게 확산되었는가’가 중요해진 시대다.
트렌드의 흐름 – ‘최상류’에서 ‘하류’까지
캐릿의 분석에 따르면, 트렌드는 ‘최상류→상류→중류→하류’의 네 단계로 움직인다. 이 흐름은 단순히 정보 확산의 속도를 의미하지 않는다. 각 단계는 트렌드의 ‘탄생’, ‘확산’, ‘정착’, 그리고 ‘소멸’의 과정을 상징한다.
구분단계 의미대표 플랫폼특징
| 최상류 | 마이크로 트렌드가 생성되는 공간 | 엑스(X), 아이돌 팬덤 | 실험적 아이디어, 밈 탄생 |
| 상류 | 살아남은 트렌드가 확산되는 구간 | 숏폼 플랫폼(틱톡, 릴스), 블로그 | 유행의 초기 확산 |
| 중류 | 메가 트렌드가 형성되는 구간 | 유튜브, 인스타그램(밈 계정) | 대중화와 확산의 핵심 |
| 하류 | 트렌드의 수명이 다하는 단계 | 블로그, TV | 트렌드의 정착 혹은 소멸 |
이 구조는 전통적인 미디어 중심의 ‘1차 유행-2차 확산’ 모델과 다르다. 2026년에는 숏폼 콘텐츠가 트렌드 상류를 주도하고,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이 대중화의 중심, TV가 하류에서 트렌드를 재해석하거나 종결하는 역할을 맡는 양상이다.
플랫폼별 트렌드 생태계: 밈·핫플·F&B·패션/뷰티
캐릿의 ‘트렌드 지도’는 트렌드의 흐름을 밈(Meme), 핫플(Hot Place), F&B, 패션/뷰티의 네 가지 분야로 나눈다.
이 네 축은 Z세대의 일상 속 소비와 콘텐츠 생산의 핵심 영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