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전략/마케팅칼럼
고객들의 착한 본성을 끄집어 내라 - 착한 마케팅 -
Marketcast
2010. 9. 24. 16:53
‘마더 테레사 효과’라는 것이 있다. 1998년 미국 하버드 의대 실험결과 남을 돕는 착한 행동을 하거나 보기만 하더라도 신체적으로 면역 효과가 높아져 타인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결과이다. 즉 도와주는 사람이 오히려 행복감을 느끼는 감정, ‘헬퍼스 하이(Helper’s high)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최근에 고객들은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품질 이외에 기업이 친환경적 기업인지, 윤리적인 기업인지, 사회공헌 활동을 통하여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지 등을 꼼꼼히 따지면서 구매한다. 사회적인 책임과 도덕적인 책무를 다 하는 착한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는 착한 소비행동 실천으로 작은 행복을 맛보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매 의사결정은 가격보다 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공헌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78%가 사회공헌 우수 기업의 제품은 가격이 비싸더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착한 기업, 착한 소비 라는 말은 이젠 기업의 이념을 넘어서 마케팅의 새로운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기업 마케팅 활동에서 제품생산이나 유통 전 과정에서 윤리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사회공헌 활동이나 수익금일부를 기부하는 마케팅 프로그램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 모두를 ‘착한 마케팅’ 이라 볼 수 있다.
착한 마케팅은 기업이 제품을 판매함에 있어 사회의 장기적 이익을 고려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 하기 위하여 환경문제, 소외계층, 인권문제 등의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회지향적 마케팅(Social Marketing) 과 고객이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수익금의 일부분을 고객이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공익적인 기부 활동을 통해 가치를 전달해 주는 대의명분 마케팅(Cause related Marketing) 활동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착한 마케팅의 대표적인 기업은“탐스슈즈(TOMS SHOES)이다. 탐스슈즈는 기업의 사회환원을 사업모토로 삼고 있으며 기업내부 직원 및 고객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통해 TOMS브랜드가 단순한 제품이 아닌 "사람을 생각하고 사랑을 실천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것을 기업철학 및 브랜드 이미지를 꾸준히 전달하고 있다.
